본문 바로가기
돈되는 이야기

서울시 청년 주거지원금 2025|지원 대상, 금액, 신청 방법 총정리!

by 청춘토끼 2025. 4. 2.
반응형

서울에서 자취하는 청년이라면 가장 큰 고민, 바로 월세 부담이죠.
서울시는 이런 청년들을 위해 **‘청년 주거지원금’**을 매달 현금으로 지원하고 있어요.
단, 신청 기간을 놓치면 1년을 기다려야 하니, 지금 바로 조건 확인해보세요!

 

 

 


청년 주거지원금이란?

서울시에 거주하는 청년 1인 가구를 대상으로 최대 10개월간 매월 20만 원
월세를 현금으로 지원해주는 제도예요.

지원금은 신청자의 계좌로 직접 입금되며,
자유롭게 월세에 활용할 수 있어 실질적인 주거비 부담을 덜 수 있어요.


지원 대상 조건 (2025년 기준)

다음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항목내용
연령 만 19세 ~ 만 39세
거주 조건 서울시 내 거주 1인 가구
소득 기준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월 약 300만 원 내외)
주택 조건 보증금 5천만 원 이하, 월세 60만 원 이하 주택에 거주
자산 기준 금융자산 3,500만 원 이하

💡 부모와 따로 살고, 보증금·월세 기준만 충족하면 대부분 지원 가능!


얼마나 지원받을 수 있나요?

  • 월 최대 20만 원 X 최대 10개월
  • 총 지원금 최대 200만 원
항목내용
지원 방식 매월 20만 원 계좌 입금
지급 기간 최대 10개월 연속 지원
중복 수혜 보건복지부 주거급여 수급자 중복 불가
재신청 1회만 지원 가능 (기수혜자는 제외)

단, 전입신고 되어 있어야 하며, 중간에 타지역 이사 시 지원 종료됩니다.


신청 시기 및 방법

🔹 신청 시기 (2025년 기준 예상)

  • 1차 접수: 2025년 4월 중 (정확한 일정은 서울청년포털에서 공고)
  • 2차 접수: 하반기 예정 (예산 상황에 따라 변동)

🔹 신청 방법

  1. 서울청년포털 접속 → 주거지원금 메뉴 클릭
  2. 신청서 작성 후, 서류 업로드 (PDF 또는 이미지)
  3. 심사 후 선정자 발표 (문자 or 이메일 안내)
  4. 선정 후 계좌 등록 → 매달 지원금 지급

📌 신청 후 1~2개월 내 첫 지급, 이후 매월 말에 입금


필요 서류

  • 주민등록등본 (서울 거주 확인용)
  • 임대차계약서 사본
  • 소득 확인서류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 건강보험납부확인서 등)
  • 통장사본 (지원금 수령용)

모든 서류는 신청일 기준 최근 1개월 이내 발급본으로 준비하세요!


이런 분들께 강력 추천!

  • 서울에서 혼자 자취하는 사회초년생/취업준비생
  • 학자금 대출 상환 중인 소득 적은 청년층
  • 월세 40~60만 원 사이에서 생활비 절약하고 싶은 분
  • 고시원, 원룸 등에서 혼자 거주 중인 1인 청년

주의사항 꼭 확인하세요!

  • 주거급여 수급자는 중복 신청 불가
  • 보증금 5천만 원 이하, 월세 60만 원 이하여야 함
  • 지원금은 현금성 지급으로, 타 용도로 사용 가능하지만 월세 목적으로 쓰는 게 원칙
  • 선정 후 의무 보고가 있을 수 있음 (예: 주소 변경, 소득 변화 등)

지금 바로 신청 준비 시작하세요!

서울시 청년 주거지원금은 매년 신청자가 많아 경쟁이 치열합니다.
하지만 조건만 맞는다면 확실한 월세 지원 혜택을 누릴 수 있어요.
👉 서울청년포털에 자주 접속해서 공고 뜨는 즉시 신청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