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되는 이야기

서울시 청년 주거지원금 2025 ,지원 대상, 금액, 신청 방법 총정리!

by 청춘토끼 2025. 4. 6.
반응형

자취를 시작하려는 청년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고민하는 전세자금.
부모 지원 없이 독립을 하려니 초기 보증금이 큰 부담이 되곤 하죠.
이럴 때 꼭 알아야 할 제도가 바로 청년 전세자금 대출입니다!

이 글에서는 청년을 위한 전세자금대출의 종류부터 신청 자격, 조건, 금리, 신청 방법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릴게요.

 

 

 

 


청년 전세자금 대출이란?

정부와 주택도시기금이 만 19세~34세 이하의 무주택 청년에게
전세 보증금 마련을 위한 자금을 저금리로 대출해주는 제도입니다.

보통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청년 맞춤형 전세대출로 나뉘며,
은행 상품(신한, 우리, 국민 등)과 연계되어 실행돼요.


대표 상품별 비교표

구분버팀목 대출 (청년형)청년 맞춤형 대출
연령 만 19~34세 이하 만 19~34세 이하
소득 기준 연 5천만 원 이하 연 7천만 원 이하
대출 한도 최대 7천만 원 최대 1억 원
금리 연 1.8%~2.4% 연 2.7%~3.6%
상환 방식 일시 상환 or 분할 상환 일시 상환
대상 주택 보증금 3억 이하, 85㎡ 이하 보증금 5억 이하 가능

📌 버팀목은 금리가 낮고 조건이 엄격,
청년 맞춤형은 조건은 널널하지만 이자 부담이 조금 더 커요.


공통 신청 자격 조건

  • 만 19세 이상 ~ 34세 이하
  • 무주택자일 것
  • 세대주이거나 세대주 예정자
  • 임차 보증금과 소득 조건 충족
  • 임차주택이 등기된 정식 주택일 것 (고시원, 불법건물 제외)

💡 사회초년생, 취준생도 신청 가능하며, 일용직/프리랜서도 소득만 증빙되면 OK!


대출 한도와 금리는?

항목버팀목 대출청년 맞춤형
대출 한도 최대 7천만 원 최대 1억 원
대출 금리 연 1.8~2.4% 연 2.7~3.6%
보증금 한도 수도권 3억 이하 수도권 5억 이하
대출 기간 기본 2년, 최대 10년 연장 최대 4년 (1회 연장)

대출 금리는 소득이 낮을수록, 자녀가 있을수록 낮게 책정됩니다.


신청 방법 (은행 & 온라인)

  1. 사전 자격 조회
    → 주택도시기금 홈페이지 또는 은행 앱에서
  2. 임대차계약서 작성 후 신청 접수
  3. 서류 제출 및 보증 심사 (한국주택금융공사 or SGI)
  4. 대출 승인 후 집주인 계좌로 대출금 지급

신청은 국민, 신한, 농협, 우리은행 등에서 가능해요.
온라인 신청은 대출 전에 공동인증서, 임대차계약서 PDF 등 준비 필수!


필요 서류 리스트

  • 주민등록등본, 가족관계증명서
  • 임대차계약서 사본
  • 소득금액증명원 or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
  • 재직증명서 or 사업자등록증 (프리랜서, 자영업자)
  • 전입세대열람내역서
  • 통장사본 (계좌 인증용)

모든 서류는 신청일 기준 1개월 이내 발급본으로 준비!


청년 대출, 이런 분께 추천!

  • 부모 도움 없이 자립하려는 청년 1인 가구
  • 보증금이 3천만 원 이상이라 고민 중인 사회초년생
  • 월세보다 전세가 더 저렴한 상황에서 고민 중인 분
  • 대출 이자를 줄이고 싶은 저소득 청년

지금 바로 자격 확인해보세요!

청년 전세자금 대출은 복잡해 보여도 조건만 맞으면 누구나 신청 가능해요.
전세가 고민된다면, 정부가 제공하는 저금리 대출부터 활용해보세요.
👉 주택도시기금 홈페이지 또는 거래은행 앱에서 지금 자격 확인 GO!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