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청년도약계좌 신청 및 가입조건 쉽게 알아보자
월 70만원으로 5천만원 만들기 중위소득 180%
윤석열 정부의 공약기도 했던 청년도약계좌가 내년 6월에 출시됩니다.
기존 10년 만기 1억원 만들기는 비현실적이라는 의견이 있어서 한도는 5,000만원으로, 기간은 5년으로 크게 줄었습니다.
윤석열 정부의 공약이었던 부분으로 많은 사람들이 기대를 하고 있었습니다. 저 또한 바로 진행이 됬다면 한번 신청해 봐야지 했는데 내년 6월 출시 된다는 소식에 조금 씁쓸함이 남기도 합니다.
요즘같은 시대에 10년 적금은 시대에 뒤떨어진 상품처럼 느껴집니다. 5년짜리 상품도 마찬가지 입니다. 사실상 이 제도가 잘 정착되어 가입자 수를 많이 모은다고 한들 실제 5년 이후에 까지 상품을 유지하고 있을 사용자는 얼마나 될까요?
기존 청년희망적금과 달리 가구 소득이 기준으로 추가 되었습니다. 부모님 소득이 높지만 개인 소득은 낮아 정부 지원금을 받아가는 일종의 금수저층을 제외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가입조건은 다소 완화되긴 하였으나, 가구소득에 대한 제한이 붙습니다. 정부는 개인 적립금의 최대 6%를 보조하여 적립하며, 은행이자는 원래의 적금상품처럼 붙습니다. 이 상품이 이야기 될때만 해도 5% 정도의 금리를 제공하였지만 , 현재는 7% 정도가 될 거라는 예상하고 있고 내년 6월 말에는 8% 정도를 기대해 볼 수 있다고 합니다.
가입 조건
대상: 19~34세 청년(병역이행기간은 미산입)
소득: 개인소득 6000만 원 이하,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
납입액: 매달 40만~70만 원
지원금: 소득구간에 따라 3.0%,3,7%,4,6%,6,0% (월지급)
만기: 5년
*정부가 보태주는 기여금은 납입액의 최대 6%
매달 70만 원씩 납부할 경우 5년 후에 정부의 800만 원 기여금을 더해 총5,000만 원 정도의 금액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혜택
1. 본인 납입 금액에 비례하여 정부 기여금 지원
2. 청년도약계좌 발생 이자는 비과세 혜택
3. 월 최대 70만원, 정부매칭 6% 기준
4. 5년 장기상품 출시
개인소득 제한이 6,000만 원 이하이기 떄문에 거의 모든 청년들은 가입대상이 됩니다. 가구소득이 중위 180% 이하여야 하지만 , 3인 가구 기준 789만 원, 4인 가구 기준 972만 원 이기 때문에 안되는 가정이 거의 없지 않을것 같습니다.
*나의 정확한 소득 확인은 건강보험료를 견주어 파악이 가능합니다.*
매월 70만원씩 5년간 금리 6%의 이자율로 적금하면 만기 후 받는 금액은 비과세 기준으로 48,405,000 원이 되는걸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큰 금액이긴 하지만 자립에 쓸만큼 큰 금액이라기보다 자산이 성장하려면 저축이 필요한 부분이므로 반드시 가입해야 할 상품은 맞는거 같습니다. 하지만 청년희망적금은 몇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소득기준을 너무 낮게 잡았기에 과연 누가 혜택을 볼 것인지에 대한 문제잠이 생기면서 심각한 단점이 큰 문제가 되버렸습니다. 총 급여액 3,600만 원은 아무리 청년이라고 해도 소득이 너무 낮기도 하며 이러한 부분으로 가입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여기 또한가지 문제는 원가구 소득과 자산기준을 적용하지 않았으므로 아르바이트를 하는 일명 금수저 까지 10%대의 너무 큰 혜택을 받았습니다. 일반적으로 부모가 잘 살면 자식도 여유롭게 사는게 일반적이긴 하나 그렇다면 청년도약계좌에 의미가 있을까요? 그러기에 이번 청년도약계좌에서는 이 점을 보완하고 실행하려는 노력이 있었습니다.
2023 청년도약계좌는 소득 기준을 다소 느슨하게 잡았습니다. 스스로 성장한 청년들까지 대상에 포함하도록 하였습니다. 뿐만 아니라 중위소득 180%로 제한하면서 일부 금수저 자녀들의 가입을 막으려고 했습니다.
상대적으로 박탈감을 주는 제도를 개선, 많은 사람들이 가입할 수 있게끔 한 것도 좋은 시도인거 같긴합니다. 사실상 이 제도가 시행되는 경우 어떻게 될지는 상황이 와봐야 알 것 같습니다. 아직 6개월이나 남은 시기인 만큼 조금 더 디테일 하게 수정한다면 우리 청년들에게 크나큰 힘이 되는 멋진 상품이 될 것같습니다.
정책금리가 많이 올랐으니 은행 금리도 많이 주지 않을까??
사실상 정책금리가 많이 올랐다해도 은행금리와는 큰 의미가 없다고 봅니다. 시중은행이 제공하는 금리에 대해서는 결정된 바가 없지만 기준금리 인상에 높은 이율을 제공한다 해도 그 만큼 정부 지원금이 낮아질게 뻔하기 떄문입니다.
청년이 월70만 원 씩 5년간 납입했을 때 납입 원금음 4,200만 원이 됩니다. 정부 지원금 + 은행 이자(비과세) 약 800 만원 이라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으므로 은행 이융리 높아지든 낮아지든 만기 수령액은 큰 차이가없지 않을까 싶습니다.
저금리 시대에 연이율이 10% 웃돌았던 청년희망적금, 고금리 시대에 시중은행 평균 적금 상품이 7~8%에 달한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다소 아쉬운 금리이긴 하지만 5년의 장기 상품이라는 점과 고금리 적금 대부분이 월 한도 30~50인 반면 도약계좌의 납입금액이 70만 원 까지라는 점을 감안하면 매력적인 상품인거 같긴 합니다.
청년희망적금 그리고 청년도약게좌 중복가입 혹은 갈아타기 에 대해서 궁금해 하시는 분들도 많이 있습니다.
아직까지 발표된 내용이 없어 내용에 담지 않았습니다. 발표된 내용이 있다면 참고해서 기록해 보겠습니다.
'돈되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vs 중소기업 청년 전세대출금리 선택은? (0) | 2022.12.27 |
---|---|
특례 보금자리론 2023년 대출자격 및 한도 (0) | 2022.12.26 |
국민연금 쉽게 알아보자 (0) | 2022.12.23 |
연말정산 기간 세액공제 와 절세 tip (0) | 2022.12.22 |
2023 복지정책 변경 내용 쉽게 알아보자 (0) | 2022.12.19 |